2019년 11월 01호 Global Packaging News

인도네시아, ‘팜오일 프리라벨링 사용 금지

BPOM, 국내 팜오일산업 보호

인도네시아 식약청(이하 BPOM)은 국내 팜오일산업을 보호하고자 ‘팜오일 프리’ 라벨이 붙은 상품 유통을 금지시켰다. 인도네시아 국내 기업은 해당 규제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BPOM은 해당 라벨링은 인도네시아 팜오일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산업을 보호하는 것은 정부의 의무라고 밝혔다.
팜오일산업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지만 열대우림 파괴 등 환경오염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야자나무(Palm) 작물은 특히 아시아에서 유통되는 포장식품 및 음료수에 많이 사용되는 성분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팜오일 주요 생산국가에서 먼저 팜오일 프리 라벨이 성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에 대해 다국적 기업인 네슬레 인도네시아 지사는 해당 라벨을 포함한 상품은 없으므로 이러한 규제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RSPO(지속 가능한 팜오일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조직된 국제 협의체)의 인증과 기준을 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2023년까지 사용하고 있는 모든 팜오일의 100% RSPO 인을 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다국적 기업인 펩시코(PepsiCo) 역시 RSPO 표준을 따르는 것을 지지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도네시아 팜오일생산자협회(GAPKI)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팜오일 수출은 그간 무역 장벽 등으로 인해 감소했다. 올해 4월 유럽으로 수출한 팜오일 및 관련 상품은 전월 대비 37% 줄어든 수치를 보였으며, 5월에는 4월보다 4% 더욱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
팜오일은 전 세계 식용오일 1억 7,000만 톤 중 39%(2017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는 말레이시아와 함께 주요 생산국 중 하나이다. 한편, EU는 지난 3월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팜오일 사용을 줄이는 법안을 통과시킨 바가 있다.

인도 식음료업계,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령에 발

“일회용 플라스틱 대체할 수 없어”

10월 2일부터 인도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가 시행되고 있다. 이번 시행에 대해 인도 식품·음료 기업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 8월 독립기념일 연설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인도 주요 기업들은 인도 중앙오염통제위원회(CPCB)에 서한을 보냈으며, 이 서한에는 200ml 페트병을 사용 금지 목록에서 제외시킬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목록에는 총 12개의 물품이 있으며, 일회용 쇼핑백, 플라스틱 컵, 빨대, 접시, 그릇, 풍선, 작은 플라스틱 병 등이 포함되었다.
발표 이후 인도 중앙 정부는 기업들에게 의견을 전달하라고 밝혔으나 해당 기업들은 현재까지 플라스틱 병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더해 현재 작은 병 판매의 시장 점유율이 40%나 차지하기 때문에 금지령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업들은 정부도 현재 어떠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으며, 인도 표준국(BIS)과 인도 식품안전기준청(FSSAI)도 플라스틱 병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ET) 소재말고는 허용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람 발라스 파스완 인도 식품부 장관은 정부는 해당 금지령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것이며, 새로운 대안과 금지는 같이 이뤄져야 하므로 기업들은 대안책을 내놓아야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일회용품 사용 규제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다. 인도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아마도 2020년 6월까지 인에서 재활용할 수 없는 플라스틱을 모두 없애겠다고 밝혔고, 인도의 최대 전자상거래 회사인 플립카드도 2021년 3월까지 모든 포장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환경 보호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정부뿐만 아니라 몇몇 기업에서도 행동으로 옮기고 있는 가운데, 여러 산업에서 이를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쓰레기 분리수거 정책 시행으로 과대포장 기피

과대포장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

최근 중국의 추석인 중추절을 맞아 월병의 과대 포장 문제가 논란의 도마 위에 올랐다.
월병에서 시작된 과대 포장 논란은 식품 장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위기이다. 적지 않은 소비자들이 인터넷상에 자신이 생각하는 ‘과대 포장’의 기준을 올리고 있다. 한 소비자는 딸기를 예로 들었는데, 딸기를 하나하나 포장한 뒤 상자 안에 파인 홈에 각각 올려놓은 제품을 지적했다. 이러한 포장이 보기에는 좋았지만, 전체 한 상자 안에 딸기는 20개도 채 들어있지 않았으며, 포장으로 인해 가격은 더 비싸졌다.
한 마트에서는 아보카도 한 알을 둘로 쪼개 매우 고급스러운 상자에 담아 놓고 비싼 가격을 받은 경우도 있었다. 한 편의점에서는 바나나 다발에서 바나나를 하나씩 잘라낸 다음, 스티로폼 상자 안에 각각 넣어 판매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포장은 비록 편리하기는 하나, 합성수지 폐기물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소비자는 환경오염을 우려할 수밖에 없다.
또한 중국에서 품산업과 직결된 택배업계 역시 포장 문제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중국 국가우정국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택배 업계는 2015년 운송장 207억 개, 포대 31억 장, 방수 택배 포장지 82.68억 개, 포장박스 99.22억 개, 테이프 168.85억 미터, 내부 충전재 29.77억 개를 소모했다. 테이프 소모량만 해도 지구의 적도 부근을 425번 감을 수 있는 양이다. 이 양은 계속해서 증가하여 2018년에는 운송장 500억 개, 포대 53억 장, 비닐 포장지 약 245억 개, 봉투 57억 개, 포장박스 143억 개, 테이프 약 430억 미터를 소모했다. 중국 국내 택배에서 1년간 사용된 테이프만으로 지구를 1,077번 감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올해부터는 새로운 쓰레기 수거 시범 사업이 시행되면서 쓰레기 분리수거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2017년 중국 국무원은 ‘생활쓰레기 분류제도 실시 방안’에서 주요 도시를 필두 생활쓰레기 분리수거를 강제 시행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그리고 올해 7월 1일 ‘역사상 가장 엄격한’ 쓰레기 분리수거 조치로 불리는 ‘상해시 생활쓰레기 관리 조례’가 정식 시행되며 중국 쓰레기 분리수거의 막이 본격적으로 열렸다. 이는 강제성 제도이므로 규정 위반 시 벌금 등 다양한 벌칙이 내려진다.
중국 주택도시농촌건설부(주건부)는 “2019년에는 북경, 천진, 서안 등 46개 중점 도시에 생활쓰레기 분리 처리 시설 건설을 위한 투자를 진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생활쓰레기 분리 처리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또한 2020년 말에는 이러한 46개 중점 도시에 쓰레기 분리 처리 시스템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2025년 이전에 이러한 시스템을 전 중국으로 확대 실시할 것이라는 계획도 밝혔다.
이처럼 현재 중국에서 식품 과대포장 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과대포장에 대해 중국 소비자들의 문제의식이 커졌으며, 중국 정부의 분리수거 정책 역시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이다. 따라서 쓰레기를 많이 만들어 내거나 분리수거가 어려운 제품은 소비자들의 가치관에 어긋나서 혹은 실질적인 불편함을 초래해서 점차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게 될 것이다. 중국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들은 이러한 중국 소비자의 인식과 소비 환경 변화에 발맞추어 적절한 포장을 고안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