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수돗물 병입수를 상표띠 없는 친환경 방식 생산
29개 수도사업자 및 3개 여객사업자와 MOU
연간 1,456만개에 이르는 수돗물 병입수가 앞으로 ‘상표띠(라벨) 없는 친환경 방식(투명페트병)’으로 생산된다.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수돗물을 병입수로 생산하는 수도사업자(서울 등 29개 기관) 및 이용객에게 생수(먹는샘물)를 제공하는 여객사자( 등 3개 기관)와 ‘상표띠 없는 투명페트병 사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난해 먹는샘물 제품의 ‘상표띠가 없는 먹는샘물(소포장제품)’의 생산이 허용돼 시장에서 높은 호응을 얻고 있어 지자체 등이 생산하는 수돗물 병입수와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고속여객 생수 분야로 상표띠 없는 투명페트병 사용을 확대한 것이다.
업무협약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비대면 서명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6개의 특광역시, 22개의 기초자치단체, 한국수자원공사 등 수돗물 병입수 생산설비를 운영 중인 모든 수도사업자가 참여했다.
아울러 한국철도공사, 주식회사 에스알,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등 고속철도(KTX, SRT) 및 고속버스 이용객(기차-특실, 버스-프리미엄 등급)에게 생수를 제공하는 3개 여객사업자도 여다.
협약 참여 기관들은 앞으로 수돗물 병입수 생산이나 생수를 제공할 때 제품을 상표띠가 없는 투명페트병을 사용하고, 각 기관의 여건에 맞추어 용기의 경량화, 무잉크 인쇄(제조일자 표기 시 레이저 각인) 등 친환경 투명페트병 생산 및 사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현재 29개 수도사업자의 연간 병입수 생산개수는 1,456만개 가량(2019년 기준)으로, 플라스틱 발생량은 연간 266톤에 이른다. 여객사업자 등에 의해 제공되는 생수는 연간 약 1,040만개로, 플라스틱 발생량은 약 133톤으로 추정된다. 이들 물량이 상표띠 없는 투명페트병으로 사용될 경우, 연간 400여 톤에 이르는 폐플라스틱의 선별 품질이 개선되어 기능성 의류로 제작되는 등 재활용 촉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동구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국이 다 안심하게 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스마트 상수도 보급과 함께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플라스틱 재활용이 촉진되어 기후대응을 위한 2050 탄소중립에 기여할 것”라고 밝혔다.
LG화학, 美 ADM과 바이오플라스틱 PLA 합작법인 설립
‘LA 및 PLA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HOA’ 체결
LG화학이 글로벌 4대 메이저 곡물가공기업인 미국 아처 대니얼스 미들랜드(ADM)와 손잡고 합작공장 설립에 나선다. 옥수수를 원료로 한 바이오 플라스틱 상업화를 위해서다.
LG화학은 9월 13일(현지 시각)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ADM(Archer Daniels Midland) 본사에서 ADM CEO 후안 루시아노(Juan Luciano) 회장, LG화학 CEO 신학철 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데 ‘LA(Lactic Acid) 및 PLA(Poly Lactic Acid)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내년 1분기에 이번 계약 체결을 목표로 2025년까지 미국 현지에 연산 7만 5,000t 규모의 PLA공장 및 이를 위한 LA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 기업이 원재료부터 제품까지 통합 생산이 가능한 PLA공장을 짓는 것은 LG화학이 최초다.
PLA는 옥수수에서 추출한 글루코오스(포도당)를 발효·정제해 가공한 LA를 원료로 만드는 대표적인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다. 100% 바이오 원료로 생산돼 주로 식품 포장 용기와 식기류 등에 사용되며 일정 조건에서 미생물 등에 의해 수개월 내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다.
시장조사업체 등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일회용품 사용 규제 강화로 생분해성 플라스틱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바이오 라스틱시은 2021년 12조원에서 2026년 34조원 규모로 연평균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ADM은 전 세계 200여 국에서 농작물 조달시설을 운영하는 글로벌 곡물가공기업으로, 바이오 케미칼(Biochemical)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원료인 ‘글루코오스’ 생산능력과 이를 원료로 한 발효기술에 강점이 있다.
합작법인 설립이 완료되면 LG화학은 수직계열화 기반의 다양한 고부가제품 개발에 재생 가능한 바이오 원료를 접목할 수 있게 되며, 상업적 규모의 고순도 젖산(Lactic Acid) 생산능력을 확보해 PLA 생산에 필요한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된다.
LG화학은 PLA 생산을 기반으로 바이오 플라스틱시장을 본격 공략할 계획이다. 특히 지속가능 전략 중 하나로 기후변화 대응 및 폐플라스틱 등 환경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는 생분해성수지 업화 박차를 가할 방침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앞으로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분야에서 확장 가능한 바이오 소재 공동 연구개발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LG화학은 ADM과 2019년 친환경 바이오 아크릴산(Acrylic Acid) 양산 기술 확보를 위한 공동개발계약(JDA)을 체결한 바 있으며, 당시 첫 협력을 통해 이번 PLA 합작공장 설립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ADM CEO 후안 루시아노 회장은 “LG화학과 이번 협력은 식물성 원료 기반의 솔루션에서 또 다른 성장의 기회와 고객 가치를 향상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 CEO 신학철 부회장은 “ADM과의 합작법인 설립은 단순한 협력을 넘어 환경과 사회를 위한 지속가능한 사업 구조로의 전환을 이끌 새로운 여정의 시작이 될 것이라며 “지속가능 도기으로서 소중립 성장에 이바할 수 있는 로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ADM CEO 후안 루시아노(Juan Luciano) 회장과 LG화학 CEO 신학철 부회장이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오뚜기, 시각장애인 위해 컵라면에 점자 표기 적용
사회적 약자 배려한 ESG경영
오뚜기가 시각장애인의 편의 증진을 위해 컵라면 최초로 점자 표기를 적용한다.
최근 기업 경영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한 ESG(환경·사회·배구조) 경영 하로, 회적 자인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과 취식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적극적으로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오뚜기 컵라면의 점자 표기 검토 배경은 시각장애인들이 식별하기 어려운 컵라면의 물을 붓는 선 표기를 개선했으면 좋겠다는 소비자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겠다는 생각에서부터 시작됐다. 오뚜기는 시각장애인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3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해 제품명과 물을 붓는 선의 점자 표기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고 점자 삽입을 검토해 왔다.
오뚜기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패키지 디자인 샘플을 제작한 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의 협조를 받아 점자의 위치 및 내용과 가독성 등에 대한 점자의 읽힘성을 높였.
이를 토대로 제품과 물을 붓는 선만 아니라 전자레인지 사 가능 여부를 나내 기호까 점자 표기한 최종 패키지 디자인이 탄생했다. 저시력 시각장애인들이 점자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의 배경은 검은색으로, 점자는 흰색으로 인쇄한 것도 특징이다.
점자 표기는 9월 ‘컵누들 김치·얼큰 쌀국수’를 시작으로, 앞으로 오뚜기 컵라면 전 제품에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오뚜기 관계자는 “시각장애인들이 제품 선택 및 식사 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컵라면 최초로 점자 표기를 추진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취약계층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뚜기 시각장애인을 위 컵라면에 점자표기를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