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식약청, 신 식품 라벨링 규제 시행
식품 매출 1,000만 달러 이상 기업 대상
미국 식약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이하 FDA)은 올해 1월 1일부터 연간 식품 매출 규모가 1,000만 달러 이상인 식품 생산기업을 대상으로 새로운 식품 라벨링 규제를 시행했다.
FDA는 지난 2016년 5월 포장품(Packaged foods)의 영양성분표(Nutrition Facts) 라벨 규정에 대한 최종 개정사항을 발표했다. 식습관과 비만, 심장병 등 만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비롯한 새로운 식품영양학적 정보가 반영될 새로운 식품 라벨은 향후 더 정확한 식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식품 선택을 용이하게 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8년 발효 예정이었던 새로운 식품 라벨링 규제는 2020년으로 연장된바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식품의 1회 제공량(Serving size)과 총 몇 회 제공량을 포함하고 있는지(Servings Per Container About)에 대한 정보는 기존보다 더 크고 진한 글자로 표기하도록 변경됐다. 또한 오늘날 미국인의 현실적인 식품 섭취량을 반영해 1회 제공량의 기준이 업데이트됐다.
가장 뚜렷한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칼로리 표시 부분에서는 소비자들이 식품 라벨을 주의 깊 살펴보 않고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1회 제공량에 대한 칼로리’를 기존보다 훨씬 크고 진한 글자로 표기하도록 변경했다.
지방(Fats)의 경우, 섭취 지방의 양보다는 어떤 종류의 지방을 섭취하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반영해 기존 라벨에서 1회 제공 칼로리와 함께 표기됐던 ‘지방으로부터의 칼로리(Calories from Fat)’ 표기를 삭제했다.
식품 가공 시 첨가되는 설탕과 같은 ‘첨가당(Added sugars)’의 함유량 및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a percent Daily Value; 이하 %DV)을 추가 표기하도록 변경했다. 첨가당에는 시럽, 꿀, 농축과즙 등으로부터의 당 성분도 포함되며 식품 패키지에 동봉된 각설탕 등도 포함된다.
기존의 필수 표기 성분인 칼슘(Calcium) 및 철분(Iron)뿐만 아니라 비타민 D와 칼륨(Potassium)의 실제 함유량 및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DV)을 반드시 표기하도록 변경했다. 기존 비타민 A와 C는 필수 표기 성분에서 제외됐으나 자발적 표기는 가능하다.
또한 영양성분표 하단에 새롭게 변경된 각주를 표기해야 하며, 해당 각주는 소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새롭게 변경된 ‘1일 영양성분 기준치(%DV)’에 대한 설명을 명시한다.
이와 함께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를 ‘/’와 함께 병행 표기할 수 있게 됐다(‘영어/다른 언어’의 형태). 캘리포니아와 같이 히스패닉 소비자층이 두터운 지역의 경우 영어와 스페인어를 병행 표기할 수 있으며, 지역별 소비자층 특성에 따라 다른 언어 표기가 가능해 활용도가 높다. 이는 한국 식품을 처음 접해 보는 타 언어 인구에게 한국 식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내에서 판되는 식품 및 음료를 생산하는 모든 기업은 새로운 식품 라벨링 규제를 준수해야 한다. 다만 FDA는 규제를 적용받는 기업의 연간 식품 매출 규모에 따라 다른 발효시기를 적용했다. 연간 식품 매출 규모가 1,000만 달러 이상인 식품 생산기업은 2020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규제를 준수해야 하지만, 매출 규모가 1,000만 달러 미만인 식품 및 음료 생산기업의 경우에는 1년 뒤인 2021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규제를 준수해야 한다.
또한 꿀이나 메이플 시럽과 같은 단일 성분의 당(Single-ingredient sugars)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나 특정 크랜베리(Cranberry)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의 경우 2021년 7월 1일부터 규제를 준수해야 하며, 특정 가향 건조 크랜베리(Flavored dried cranberry) 제품의 생산기업에는 2020년 7월 1일부터 규제가 적용된다.
中 플라스틱 제품 사용 제한‧금지 의견 발표
2020년 말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 사용 금지
2018년 중국 플라스틱 제품 생산량은 6042.1만 톤으로 전년 대비 1473.4만 톤이 줄었지만 2019년 1~11월 생산량이 7199.5만 톤으로 다시 늘어났다.
이에 중국 발전개혁위원회 생태환경부는 ‘진일보한 플라스틱 오염 처리 강화에 대한 의견(关于进一步加强塑料污染治理的意见)’을 발표했다.
2020년 말까지 전국적으로 분해가 불가한 일회용 빨대의 사용을 금지하고, 직할시, 성정부 소재지 등의 쇼핑몰, 슈퍼마켓과 배달 및 포장용기에 분해가 불가한 비닐봉투 사용을 금지하며, 지급 이상 도시의 조성구역(建区) 및 관광지에서 일용 플라스틱 용기의 사용을 금지한다.
또한 2022년까지 베이징, 상하이, 장쑤성, 저장성, 푸졘성, 광둥성 등 도시의 우체국‧택배 영업소에서 분해가 불가한 플라스틱 포장지 사용을 금지하고, 2025년까지 지급(地级)이상 도시의 배달 및 포장용기에 분해가 불가한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의 소모량을 30% 아래로 낮춘다.
이밖에 초박형 비닐봉투, 초박형 농업용 비닐 등을 금지하고, 폐플라스틱 수입 전면 금지를 유지하는 등 점차적으로 플라스틱 사용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일본 RICOH, 페트병 레이저 각인 기술 발표
풀 라벨 필요 없어
RICOH는 레이저를 조사해 페트병에 직접 문자나 자인을 각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레이저 프린터 기술을 응용해 페트병의 표면에 레이저로 촘촘한 흠집을 내 하얗게 각인한다. 플라스틱 라벨을 필요 없게 만들기 위해 폐플라스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로, 2022년 상용화를 목표로 두고 있다.
페트병에 레이저를 대고 미세하게 열을 가해 표면을 깎아 문자나 도안을 재현한다. 현재 프린터에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보다 1/3 정도 작은 직경의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쓰이는 페트병의 라벨에 기재되어 있는 문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고 한다.
레이저에는 제어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깎는 깊이와 강도를 자동을 조정할 수 있어 너무 깊이 깎아 구멍이 뚫리거나 변색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현재 특허를 출원 중에 있으며, 2022년 상용화를 향해 문자 각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량에 착수하고 있다.
다 쓴 페트병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페트병 본체와 라벨을 분리해야한다. 현재는 이를 수작업 혹은 전용기계를 사용해 분리하고 있지만, 시간과 비용이 들기 때문에 재활용하지 못하고 소각하는 경우도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 RICOH는 레이저를 조사해 페트병에 직접 문자나 디자인을 각인하는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