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8월 02호 Global Packaging News

중국, 밀키트 식품 지속적인 성장세

2022년 약 77조원 돌파할 것으로 전망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에서 최근 「2022년 중국 밀키트 식품 온라인 소비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보고서에 의하면, 2021년, 중국 밀키트 식품의 시장규모는 3,000억 위안(한화 약 58조원)을 돌파하였고 2022년에는 4,000억 위안(한화 약 77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중국 콜드체인 물류와 온라인 유통채널의 빠른 발전에 힘입어 2019~2022년 중국 밀키트 식품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고 코로나19는 소비자의 밀키트 식품 수요를 한층 더 야기시켰다.
2021년 티몰 인기급등 춘절맞이 상품 랭킹에서 설날 상차림 밀키트 식품이 1위를 차지하였다. 춘절은 소비자의 집중적인 소비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매년 제1분기는 밀키트 식품 매출이 가장 높은 시기다.
지역적으로 볼 때, 상하이·장쑤·저장지역 소비량이 가장 높고 광동성, 산동성과 베이징이 두 번째로 높은 소비를 보이는 지역이다.
성별로 소비자 유형을 구분해 볼 때, 여성소비자의 TGI(Target Group Index, 목표 그룹 지수. 특정 타겟 소비자의 구매, 매체이용, 라이프 스타일 등을 통합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으로 목표 집단의 특정 연구 범위 내에서 강세 또는 약세를 반영)가 130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밀키트 식품을 선호하였다.
연령별로는 60세이상 소비자의 TGI 지수가 가장 높았고 이는 중국의 노령화 추세의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주목해야 할 점은 60세 이상 소비자만큼 높지 않지만 2021년 기준, 18~24세 소비자의 밀키트 소비량은 전년 대비 약 70% 증가하여 소비 잠재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품목을 볼 때, 전 품목이 매출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냉동 훠궈 식재료, 인스턴트 식사 대용식의 증가 폭이 가장 컸고 같은 품목 중에서도 육류가 들어간 상품의 인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밀키트 식품은 맛있으면서도 조리가 간편하다는 특징으로 많은 소비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1인 가구 회사원, 다이어트 중인 젊은 층, 염분 섭취량에 민감한 중장년층 등 소비자를 세분해본다면 제품의 영양, 기능성 등 수요가 차별적이고 제각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특정 소비자층의 니즈를 파악한 제품 개발과 맞춤형 마케팅으로 시장에 진출한다면 한국산 밀키트 혹은 한국식품 활용 밀키트 등 한국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기회와 방법이 존재할 것으로 사료된다.

▲ 2017-2022년 중국 밀키트 식품 시장규모
자료: NCBD(New Catering Big Data)

 

태국, 식품이력추적시스템, 식품업계의 기회이자 도전

시장 내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경영 전략 수립 필요

최근 식품시장 내 식품관련 제조업체간 치열한 경쟁뿐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한 태국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의 변화는 현지 식품기업들에게 큰 도전이 되고 있다.
팬데믹 이후 태국 소비자들은 건강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고 안전한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현지 식품업체들에게는 이러한 시장 내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경영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태국의 조사기관 Krungthai Compass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최근 시장 내 업체들이 당면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식품이력추적시스템(Food Traceability)을 꼽았다.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은 식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재료, 제조정보, 유통정보 등을 통합 관리 및 추적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현재 식품시장에 필요한 이유는 아래와 같이 4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식품안전성이다. 팬데믹 이후로 태국 소비자들은 식품위생에 대한 인식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태국 소비자 식품안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68%가 위생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답했으며, 응답자 중 70%는 식품의 출처에 대해 알고 싶다고 답변했다.
둘째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이다. 현대 소비자들은 자신이 섭취하고 있는 식품이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어 한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태국 소비자 4분의 3이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동시에 응답자의 약53%는 식품생산이 친환경 제품일 것으로 기대하며, 나머지 응답자 중 약 35%는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에 대해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는 발전된 식품이력추적 기술이다. 최근에 개발된 IT 및 관련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2025년에는 세계 식품 이력추적 기술의 규모가 평균 연간 성장률 약 9.3%로, 이는 약 2,227만 4,000달러 수준으로 추산되고 있다.
넷째는 오염물질에 대한 인식변화이다. 관련 설문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의 22%가 코로나19 오염으로 인한 식품 안전을 걱정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박테리아에 오염된 식품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소비자가 20%, 식품 내 발암물질 포함여부를 걱정하는 소비자가 12%라는 결과가 나왔다.
식품이력추적시스템에 대한 시장의 수요가 커지면서 식품업체들 역시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다.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은 생산, 제조과정 전반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며, 이는 시장 내 판매되는 제품의 영양정보, 제품출처,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의 관련 정보가 소비자에게 공개되는 것이다. 특히 축산물, 수산물, 동물사료, 과일 및 채소류는 향후 제품 안전 표준에 적용될 가능성이 커지므로 관련 업체들은 이러한 변화에 맞게 미래 대응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 소비자들은 기존 제품별 라벨링 정보 외에 식품 생산에 사용된 상세 원재료, 제조과정 등과 같은 보다 상세한 식품 안전 정보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소비자의 건강한 식재료, 식품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면서 관련 업체들이 식품이력정보를 소비자에게 공개하는 것이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 향상과 동시에 이를 통해 판매를 확대할 수 있는 경쟁력이 되는 시대가 되었다.

▲ 식품이력추적시스템은 식품업체들이 당면한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자료: Brand Buff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