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 02월 01호 Global Packaging News
생분해성 커피컵은 어떻게 재활용할까?퇴비화 시설 확대 필요커피컵은 재활용이 어렵기로 악명이 높으며, 많은 사람들은 많은 비용이 드는 재활용보다는 대체재료의 이용이 더 낫다고 믿고 있다. 그렇다면 생분해성 컵은 환경친화적이고 재활용하기 쉬운가? 지난해 1월 영국은 일회용 커피컵에 대한 기사로 떠들썩했다. 영국 정부가 매년 25억 개 소비되지만 재활용 비율은 0.25%에 지나지 않는 1회용 커피컵에 25펜스를 부과하는 ‘라떼 부담금(latte levy)’을 추진하려한 것이다. 더욱이 생분해성 컵이 보다 지속가능한 대체제로 언급되고 있지만 이들이 정말로 좋은 선택일까? 현재 이용되는 커피컵의 다수는 종이로 된 외층과 플라스틱 소재의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재료들은 서로 분리하기 어려우며 컵에 남겨진 플라스틱 성분과 커피액은 종이와 판지 재활용망을 오염시킬 수 있다. James Cropper와 같은 일부 제지기업들은 컵 생산의 자투리를 재생해 얻은 섬유를 50% 함유해 컵을 만드는 ‘컵 사이클링(cup cycling)’ 계획을 개시했다. 포장기업인 DS Smith도 표준 커피컵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따뜻한 물과 압력을 가하여 컵 내부의 플라스틱 성분을 종이섬유와 분리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공공수거장이 매우 적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 컵을 회수하는 것도 큰 문제라고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재활용자문위원회(Local Authority Recycling Advisory Committee)의 Lee
[...]